21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기자회견을 열고 “도의회와 협력을 통해 복지 예산이 복원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11.21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dom
경기도가 내년도 본예산에 복지 예산을 대폭 삭감했단 정치권과 관련 단체의 비판과 관련, “복지 예산 현장의 혼란과 우려에 깊이 공감한다”며 복구할 뜻을 내비쳤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21일 오전 11시 10분 경기도청 브피링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르신·장애인 등 취약계층과 직결된 예산을 두고 다소 혼란이 빚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어지고 있다”며 “도의회·복지 단체들과 협의해 필수불가결한 예산이 복원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가 편성안 내년도 예산안에 복지 분야 예산이 2천440억원 감액돼 논란이 일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주(남양주을) 의원은 지난 7일 “경기도가 노인 지원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노인 복지 가치를 짓밟는 결정”이라고 지적했고, 강득구(안
릴게임몰 양만안) 의원은 지난 16일 “어르신과 장애인의 삶을 지탱하는 필수 사업들이 줄줄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고 비판했다.
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부족한 부분은 내년 1차 추경을 통해서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최근 노인·장애인 단체와 도의회 국민의힘도 도의 복지 예산 삭감을 비판하고 나서자,
릴박스 도는 이를 의식해 이날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열고 수습에 나섰다.
고 부지사는 “내년도 예산에 노인상담센터 지원비, 노인 복지관 운영비 예산 등 주요 필수불가결한 예산들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김 지사는 심각성을 인지하고 최대한 의회와 협력해 복원률을 높이라는 지침을 주셨다. 이에 저는 지난 18일 도내 22개
바다신2다운로드 사회복지 관련 단체로 구성된 경기도사회복지연대 대표단과 긴급 간담회를 갖고 삭감된 예산을 의회와 협력해 최대한 복구하겠다고 약속했다”고 했다.
21일 오전 경기도청 앞에서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 권리 예산을 본예산에 전액 반영하라”고 주장했다. 2
오리지널골드몽 025.11.21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고 부지사는 도의 재정 상황이 어려운 데다 새 정부의 매칭사업에 필요한 도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도 자체 예산을 불가피하게 삭감해야 한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 들어 정상화된 확대재정에 발맞춰 국비에 매칭한 도비가 3천49억원 정도 된다. 이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도 자체예산에 대한 조정이 불가피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복지예산이 7% 늘었지만 일몰된 사업을 정리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복지 현장과 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점도 있다”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복구 사업과 규모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고 부지사는 “예산을 편성해 도의회로 넘긴 상황에서 ‘어느 분야를 몇 억을 살리겠다’고 명시적으로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현재 여러 복지 단체와 도의회, 집행부가 협의를 통해 적정선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에 반영되지 않으면 안 되는, 꼭 필요한 부분들은 당연히 이번에 복구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은 추경을 통해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후 도의회와 본예산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다른 분야의 예산에 영향이 불가피한 것 이니냔 지적에 고 부지사는 “단정을 짓고 미리 예단할 수는 없다. 복구하는 만큼 또 다른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중하고 긴밀하게 의회와 협의하겠다”고 했다.
고 부지사는 복지 예산 복원을 위해 도의회와 협의하겠다고 밝혔지만, 최근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 도 비서실이 불출석해 갈등을 빚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이날에도 도의회 국민의힘은 긴급 의원총회 및 기자회견을 열고 “도 집행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과 조례안 등은 심의하되 의결은 하지 말아 달라”고 나서는 등 갈등이 격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고 부지사는 “예산은 도민의 삶과 앞으로 도정 방향과 연관돼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집행부와의 갈등 과정에서 볼 문제는 아니”라며 “앞으로도 의원님들과 더 설득하고, 긴밀한 협의를 통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는 장애인 권리 예산을 본예산에 전액 반영하라”고 주장했다.
/김태강 기자 think@kyeongin.com 기자 admin@seastorygam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