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UPI=연합뉴스·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현정 차병섭 기자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 이후 일본에 잇단 외교·경제적 압박을 가하고 있는 중국이 '국제적 악당' 이미지가 강해지는 등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복수의 국제관계 전문가 분석을 인용해 "중국이 안보 위험이나 주권 위협에 대응해 다른
손오공릴게임 나라를 상대로 무역 및 관광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며 이같은 '위험한 전술'이 국제적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SCMP는 "중국의 전략은 지역 국가들이 베이징을 바라보는 시각에 영향을 미쳐 '책임감 있는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중국의 노력을 훼손하고, 지역 불안을 키우는 국가로 인식될 수
바다이야기게임2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에 언급된 '영향력 행사'는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유사시 일본 개입' 발언 이후 중국이 공식적으로 자국민에게 항공권 취소 수수료 면제 등을 내걸며 일본 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을 발표하는 등 경제 제재 압박을 가한 것을 말한다.
이밖에도 중국은 한중일 3국 문
황금성오락실 화장관회의를 잠정 연기했으며, 문화·관광 업계에서는 일본 영화의 중국 내 개봉 연기와 중국 크루즈선의 일본 접안 취소 소식이 잇따랐다.
딜런 로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교수는 이와 관련해 "중국은 필리핀, 한국과의 관계가 악화했을 때 이미 그런 수법을 사용한 적이 있다"며 "각국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재고하고, 관광 다각화를 유도할 수도
바다이야기사이트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2014년 남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긴장이 고조되자 '안보 상황 악화'를 이유로 필리핀에 여행 경보를 발령한 바 있으며, 2017년에는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반발하며 한국 여행 상품 판매 금지를 비롯한 비공식적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을 시행했다.
중국의 이
릴게임사이트 같은 행보가 군사적 위협, 외교·경제적 강압과 제재를 포함한 전형적 '전랑외교(戰狼外交, 늑대전사 외교)'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데이비드 아라세 존스홉킨스-난징중미연구센터 국제정치학 교수는 SCMP에 "중국의 접근 방식은 '전랑외교'의 일환"이라며 "최근 사례는 중국이 악당(bully)이며, 지역 평화와 안정에 대한 위협이라는 인식을 더욱 심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뭉청 와세다대 국제학부 교수는 "이러한 경제 강압 조치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고, 비효율적"이라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14일 중국 외교부의 '일본 여행 자제령' 통보 이후 일본뿐 아니라 중일 노선을 운행하는 중국 항공사들 역시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SCMP와 싱가포르 연합조보 등 중화권 매체는 중일 항공 노선은 주로 중국 항공사가 운영하고 있으며, 여행 취소에 따른 타격도 일본 항공사보다 더 클 수 있다고 봤다.
SCMP에 따르면 중국 3대 항공사인 중국국제항공·중국남방항공·중국동방항공 등 주요 항공사는 약 50만건의 항공권 전액 환불 또는 여정 변경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면서 해외 플랫폼에서 구매한 일본 여행 상품이나 현지 숙박업소, 관광지 입장권 등은 환불이 어려워 관련 손해는 일정을 취소하려는 중국인 관광객이 부담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중국 당국이 일본 음악가들의 공연을 취소시키고 있다면서 이번 주 중국 주요 도시에서 일본인 공연 10여건이 갑작스럽게 취소됐다고 보도했다.
일례로 전날 일본인 재즈 음악가 스즈키 요시호가 베이징의 모 공연장에서 음향 체크를 하고 있는데 사복 경찰이 방문했고, 경찰이 '일본인들의 콘서트는 모두 취소'라고 말했다는 게 한 공연기획자의 설명이다.
그는 당국이 올해 남은 기간 일본인 음악가 공연이 취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중국 전역의 공연장들에 20∼21일 경고했고 내년 공연을 위한 신규 신청도 하지 말도록 했다고 전했다.
관객들이 관람을 위해 공연장밖에 줄 서 있는 상황에서 공연이 취소되자 성난 관객들이 환불을 요구한 사례도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hjkim07@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