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셀 라정찬 회장이 2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메릴랜드 볼티모어에 조성될 ‘바이오스타 스템셀 캠퍼스’ 조감도를 소개하며 미국 내 줄기세포 치료제 생산·연구 거점 구축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박국희 특파원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네이처셀이 미국 내 첫 줄기세포 치료제 생산 거점 구축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은 20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 FDA(식품의약국)와의 임상 2상 종료 미팅을 성공적으로 마쳐 내년 초 3상 임상에 들어가는 데 특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별한 장애물이 없다”며 미국 시장 진출이 사실상 본궤도에 올랐음을 강조했다. 행사에는 메릴랜드 주정부와 볼티모어시 관계자들이 직접 참석해 지원 의지를 밝히는 등 현지 정부의 관심도 높았다.
네이처셀은 볼티모어에 약 3억달러(약 4422억원)를 투입해 ‘바이오스타 스템셀 캠퍼스(BIOSTAR Stemcell Campus)’를 조성한다. 연면
골드몽 적 약 9290㎡(약 2810평) 규모의 이 시설은 내년 초 착공해 2031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며, 완공 시 네이처셀 퇴행성 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조인트스템(JointStem)’을 연간 100만명 치료 규모로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된다. 라 회장은 “조인트스템은 살아있는 세포 기반 치료제로 유효기간이 짧아 미국 내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야마토게임방법 품질관리 기준) 제조시설 확보가 필수”라며 “볼티모어에서 제조·공급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완전한 미국 상용화 기반을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
라 회장은 지난 18일 FDA와 진행한 임상 2상 종료 미팅 결과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임상 파트는 이미 지난 미팅에서 완료됐고, 일부 서류 제출 절차만 남았다
바다신2릴게임 ”며 “내년 초 임상 3상 진입은 가능성이 아니라 ‘당연히 가게 되는 단계’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화요일 회의에서 ‘3상으로 가는 데 특별한 장애물이 없다’는 데 상호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현장에는 메릴랜드 주정부 인사들도 참석했다. 해리 코커 메릴랜드 상무장관은 “네이처셀이
메이저릴게임사이트 메릴랜드를 선택해 매우 기쁘다”며 “메릴랜드는 5000여 개 생명과학 기업이 모여 있는 미국 최고 수준의 바이오 클러스터”라고 소개했다. 이어 “한국과 메릴랜드는 기술·투자·연구 협력 면에서 큰 시너지가 날 것이며, 네이처셀은 이 생태계에 적합한 기업”이라며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볼티모어를 최종 입지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 라 회장은 “전문 인력과 정책 지원이 뛰어나고 존스홉킨스병원과의 연구 협력이 용이하다”며 “특히 1883년 지어진 ‘가스라이트 스퀘어’ 건물을 활용해 역사적 공간에서 최첨단 재생의학을 펼친다는 점이 의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 말까지 2만명 치료 수준의 첫 GMP 시설을 구축하고, 2028년까지는 새 5층 건물을 완공해 연 20만명, 2031년까지는 100만명 치료 역량을 갖추겠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공개된 임상 데이터도 긍정적이었다. 네이처셀 측은 조인트스템 5년 추적 결과를 처음 공개하며 “단일 주사(single injection)만으로 5년간 효과 지속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정상옥 사장은 “FDA에 제출된 어떤 글로벌 데이터에서도 볼 수 없는 수준의 ‘5년 지속 효능’을 확인했다”며 “무릎 수술 필요 비율도 조인트스템 투여군에서 3%로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라 회장은 “메릴랜드 주정부와 시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한국에서도 경험하지 못한 수준으로 느꼈다”며 “줄기세포 기술로 미국과 전 세계 난치병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며, 이곳 볼티모어가 그 베이스캠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31년까지 3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미국에서 글로벌 스탠더드를 세우겠다”고 밝혔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원샷 국제뉴스 더보기(https://www.chosun.com/tag/ones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