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2025 ESG 경영혁신포럼
김효은 글로벌 인더스트리 허브 대표가 11일 열린 한경ESG 경영혁신포럼에서 ‘트럼프 2기, 탄소중립 국제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사진= 이승재 기자)
김효은 글로벌 인더스트리 허브 대표는 탄소가격 신호의 확립과 에너지 믹스의 현실적 조합을 한국의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트럼프 2기에도 파리협정 체제는 견고히 작동하는 만큼 이제는 정책 발표를 넘어 실행의 단계로
나아가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11일 <한경ESG>가 주최한 ‘2025 ESG 경영혁신포럼’에서 ‘트럼프 2기, 탄소중립 국제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의 정책 변화와 정치적 변수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을 축으로 한 국제 기후협력 체제는 촘촘하게 구축돼 있어 흔들리지 않는다
”라고 강조했다. 이어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이행을 뒷받침하는 측정·보고·검증(MRV) 투명성 체계와 5년 주기의 글로벌 이행점검(GST)이 시스템으로 정착돼있다”며 “한두 나라의 이탈로 흔들릴 구조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1.5℃ 목표 정합성, NDC의 첫 번째 판단 기준”
김 대표는 올해가 파리협정 10주
년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파리협정은 각국이 스스로 정한 목표(NDC)를 제출하지만 그 목표가 1.5℃ 목표 달성에 기여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말했다. 또한 IPCC가 제시한 기준인 2030년(2019년 대비)에 약 43% 감축, 2035년 60% 감축 수치를 언급하며 “전문가들은 NDC를 평가할 때 가장 먼저 ‘1.5℃ 궤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본다”고 덧붙였다. 각국은 NDC 제출 후 2년마다 BTR(양식화된 투명성 보고)를 통해 진척 상황을 공개하고, 국제 전문가의 검증을 받게 된다.
김 대표는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가격 급등 등을 거치며 한때 ‘빌드 백 그리너’에서 에너지 안보 우선으로 기조가 이동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 정치 지형 변화와
보호무역·관세 이슈,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탄소부과 유예 등 단기적 주춤은 있지만 글래스고(COP26)의 합의, 샤름(COP27) 손실·피해 기금, 두바이(COP28)의 화석연료 감축 합의, 바쿠(2024)의 연 1.3조 달러 기후재원 동원 합의 등 장기적 흐름은 전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태양광·전기차 등 친환경 제조에서 중국의 압도적 점유율을 지목하며 “범용 제품에서 정면승부하기보다 기술 난도가 높고 부가가치가 큰 영역으로 전환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또 “친환경 규제가 비용이 되는 산업도 있지만 기회가 되는 산업도 분명히 있다”며 “정책은 전환 비용을 줄여 취약 부문을 돕고, 동시에 기회 산업이 시장 신뢰 속에 성장하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한국의 2030·2035 NDC는 2050 탄소중립으로 가는 직선 궤적상에 놓여 있어 국제 기준과 정합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달성은 별개의 문제”라며 탄소가격 부재를 핵심 제약으로 꼽았다. 그는 “배출권 가격이 낮으면 기업은 감축 투자를 미룬다”라며 “탄소에 확실한 가격 신호를 부여해 감축한 기업이 이익을 보고, 미이행 시 비용을 지불하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기술 측면에서는 CCUS 1톤당 약 100달러, 직접공기포집(DAC) 1톤당 약 1000달러 수준의 비용을 언급하며 “기술 비용 하향과 탄소가격 상향이 맞물려야 시장이 작동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글로벌 기업이 고가 탄소크레딧을 수요하는 현실도 주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COP30의 관전 포인트는
김 대표는 COP30의 핵심 쟁점을 ‘NDC 상향(1.5℃ 정합성)’과 ‘연 1.3조 달러 기후재원 조달’로 제시했다. 그는 ”60여 개국이 2035년 NDC를 냈지만 수준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다”며 “글래스고 때처럼 다시 써서 내라는 압박도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동시에 선진국은 재원 동원 계획을, 개도국은 감축 로드맵을 내야하는 팽팽한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AI 데이터센터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그는 “석탄의 퇴장은 명확하다”며 “가스·원전·재생에너지를 현실적으로 조합해 클린 전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력망 확충과 전력시장 개방 없이는 기업의 감축도, RE 전환도 막힌다”며 “정책의 성패는 시장 설계와 규제 예측 가능성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재생에너지냐 원자력이냐 이분법을 벗어나 할 수 있는 건 다 하는 ‘And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탄소·전력·크레딧 등 가격 신호를 바로 세워 기술과 자본이 한국으로 유입되게 해야한다”며 “국제 협력의 방향은 정해졌고 이제는 실행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정책을 발표하고 나서 시장과 재정, 국민 수용성이 만나야 실제 감축이 가능하다”며 “한국은 선택과 집중으로 비용은 낮추고, 기회는 키워야한다”고 덧붙였다.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